Massachusetts,공과대학 교수
Suzanne Flynn(언어학 전공)의
“언어에 관한 12가지 기본”
-
1. Language is a unique and special human capacity.
동물이나 곤충 등 인간 이외의 생물도 고통을 느낄 때나 위험을 인지하였을 때 울음소리로 주위에 전합니다. 그렇지만 인간 언어의 전달 시스템과는 다릅니다. 인간은 한 사람 한 사람이 설계도를 가지고 태어나기에 그에 따라 우리들은 언어를 이해하고 이야기 할 수 있게 됩니다.
:언어를 이야기하는 것은 인간의 특별한 능력입니다. -
2. There is really only one human language.
인간이 가지고 태어난 , 언어의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설계도는 한 가지 밖에 없습니다. 언어 간의 작은 차이를 떠나, 예를 들면 영어와 일본어의 핵심적인 부분은 근본적으로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순이나 어감의 차이는 하찮은 것에 불과합니다.
: 기본적으로는 인간의 언어는 한 가지밖에 없습니다. -
3. A child is not taught language.
언어습득 프로세스는 우리들이 태어나 갖고 있는 설계도에 유래하고 있습니다. 갓 태어난 아이들이라도 잡음과 언어를 구별해 듣고 있습니다. 언어의 뇌는 주위에서 활발하게 들려오는 “언어의 소리와 모양을 구별”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주위에서 들려오는 언어의 음을 제 1언어로써 배우기 시작합니다. 우리들은 유전적으로 말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있지만 특정 언어를 이야기 하도록 프로그램 되어있는 것은 아닙니다.
: 아이들은 언어를 배우지 않습니다. -
4. Multilingualism is the natural state of the human mind.
애당초 다른 생물은 두 나라의 언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언어가 자연스러운 상태라고 하는 것은 전 세계로 봤을 때 인구의 3분의 2가 적어도 2개 국어를 이야기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있습니다. 또는, Chomsky가 말하는 것처럼 제 1언어(모국어)를 말 할 수 있는 능력은 다언어 사용의 제 1형태입니다.
: 다언어 사용은 인간의 지능(지성)의 자연스러운 상태입니다. -
5.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languages one can learn.
인간의 능력은 무한합니다. 우리들이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능력은 무한하며, 또는 평균적으로 그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들에게 있어 한계가 되는 것은 시간과 에너지와 욕구뿐입니다.
: 한 사람이 습득할 수 있는 언어의 수는 한계가 없습니다. -
6. Everyone can learn a new language regardless of age as long as there is desire.
제1언어(모국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욕구가 있는 한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라도 새로운 언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12살이 임계기라고도 했지만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임계기는 존재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아이들은 12년에 걸쳐 제 1언어를 습득합니다. 하지만 어른들은 1년 만에 네이티브처럼 자연스럽게 말 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랍니다. 또, 재능과도 관계없습니다. 누구라도 제 1언어를 습득 할 수 있으며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누구라도 욕구가 있다면 연령과 관계없이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것이 가능합니다. -
7. The more languages you know, the easier it gets.
언어 습득의 성과는 축적됩니다. 이때까지 배운 모든 언어를 다음 언어습득을 더욱 쉽게 하는 것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습득자의 제 1언어에는 다음 언어의 습득에 대해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일본어가 모국어이면서 스페인어를 제 2언어로써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의 경우, 영어 습득을 간단하게 해 주는 것은 스페인어를 말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언어의 구조적 패턴을 한번 이해한다면 어떤 언어의 습득도 간단해집니다.
: 많은 언어를 알면 알수록, 간단히 습득하게 됩니다. -
8. The easiest way to learn a new language is in a naturalistic setting.
아이가 제 1언어를 습득할 때의 환경이나 또는 그것에 가장 근접한 환경 만들기가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는 최적의 방법입니다. 즉, 칭찬받고, 위로받고, 자연스러운 언어를 많이 듣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 강요받을 일 없이, 점수매기지 않는 환경이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 새로운 언어를 습득하기에 자연스러운 방법이 가장 지름길 입니다. -
9. You never lose the languages you acquire.
‘예전에는 말 할 수 있었는데 이젠 다 잊어버렸어’ 라는 말을 종종 듣습니다만, 그것은 틀렸습니다.
: 한 번 습득한 언어는 결코 잃어버리는 일이 없습니다.
일단 언어를 끼워 맞춰 문장을 만들거나 표현을 할 수 있게 된 사람은 그 기초가 되는 부분은 없어지지 않습니다. 긴 시간 잊고 있었기에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 때가 있더라도 그것은 다른 인식영역의 문제이지 언어능력의 문제는 아닙니다. -
10. Maintaining fluency is easiest when there is a need to be multilingual.
한번 습득한 언어는 잊어버리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만 그 언어의 유창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가 들리는 환경에 몸을 두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언어의 유창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언어 장소(환경)가 있는 것이 제일입니다. -
11. Knowing multiple languages has long-lasting positive consequence at multiple levels throughout one’s lifetime.
2개 이상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에 인지상의 장점이 있는 것은 수 십 년 전부터 알려져 왔습니다. 또는 2가지 나라의 언어를 이야기하는 사람은 어렸을 때 부터 하나의 물건이 2개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배웁니다. 스페인어와 영어를 이야기하는 사람은 식사를 할 때 가족과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4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는 판자를 「table」또는「mesa」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물건 하나의 이름이 언어에 따라 여러 개의 이름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일정의 추상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며 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이러한 체험을 하는 경우가 없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2개의 언어를 이야기 하는 사람은 나이가 들어 갈수록 “집중력을 컨트롤 하는 능력이 향상”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10년 정도 지적연령이 연장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 복수의 언어를 아는 것은 여러 차원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낳으며, 그것은 생애에 걸쳐 지속됩니다. -
12. The more languages you learn, the smaller the world gets and the greater y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its people.
히포 활동에서는 언어와 그 습득에 관해 우리 연구자가 올바르다고 알고 있는 것이 완벽히 실현되고 있습니다. 히포에서는 “언어를 노래하다” 라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각각의 언어를 이야기하고 많은 사람의 음성을 듣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배워 나갑니다. 홈스테이에서는 다른 언어나 문화에 흠뻑 빠져보는 것도 가능합니다. 새로운 언어를 습득할 때, 마음을 열고 어떤 사람이라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은 타인에 대해 관용을 베풀 줄 아는 그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언어를 통해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는 힘을 좀 더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 많은 언어를 습득하면 할수록, 세계는 좁아지고 전 세계 사람들에의 이해가 깊어집니다.
히포 활동은 그러한 의미에서 훌륭한 프로그램이며 삶의 태도입니다.